한국의 코로나19: 시민 아카이브
  • 시민아카이브에 대하여
    (About page)
  • 불평등과 차별
    (Inequality)
    • 아동청소년
    • 이주민
    • 노인
    • 홈리스
  • 공공보건의료
    (Public Healthcare)
  • 거버넌스
    (Governance)
  • 노동
    (Labor)
    • 보건의료
  • 의약품/보건기술
    (Health Technology)
  • 인권
    (Human Rights)
    • 자유권
    • 정보인권
  • 젠더
    (Gender)
    • 공공보건의료

    [연구] 일상의 여러 환경에서 코로나19 감염 위험과 시민참여방역

    2020년 8월 29일 phikorea

    https://www.bmj.com/content/370/bmj.m3223 Mahase, E. (2020). Covid-19: Physical distancing of at least one metre is linked to large reduction in infection.(국문 번역 트위터ID @health146, @liuliyuez) “시민참여방역”의 시작은 각자의 상황에서 코로나19 감염 위험 수준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추는 것입니다. 직장까지 출퇴근하는 길에서, 출근해서 하루를 보내는 작업장에서, 주민들이 함께하는 마을사업에서, 생필품을 구매하고 여유시간을 보내는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Read more
    • 공공보건의료

    [전문가좌담] ‘다음’을 버티려거든 공공보건의료를 부탁해(시사인, 2020.5.18)

    2020년 7월 7일 phikorea

    ” 국민이 느끼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자부심과 달리, 현장에서는 한계를 절감한다. 병상이 모자랐고, 일손이 부족했다. 코로나19 사태를 발판 삼아 공공보건의료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26

    Read more
    • 공공보건의료

    [칼럼] 공공보건의료가 방역의 ‘과학’이다 (경향, 2020.04.21)

    2020년 7월 7일 phikorea

    …”공공보건의료 인프라는 적정 수준 이상의 ‘양(量)’을 가리킨다. 이미 대구에서 경험했으니, 일정량 이상의 공공병원과 병상, 이를 책임질 인력이 있어야 한다. 기본 인력과 시설이 모자라면,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고 중환자가 밖을 헤매는 사태가 벌어진다. 공공이 최초 단계 책임을 맡아 초기 충격을 완화하는 구실을 하자는 것이다.”… 원문보기:https://bit.ly/3gDXOtT

    Read more
    • 공공보건의료

    [시민사회논평] ‘코로나 자본주의’와 ‘코로나 공공보건’ (2020.06.29)

    2020년 7월 7일 phikorea
    Read more
    • 공공보건의료

    [시민사회논평] ‘필수’서비스 유지도 코로나 대책이다(2020.06.22)

    2020년 7월 7일 phikorea
    Read more
    • 공공보건의료
    • 의약품/보건기술

    [시민사회논평]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보다 정의가 더 어렵다 (2020.07.06)

    2020년 7월 6일 phikorea
    Read more
    • 공공보건의료
    • 의약품/보건기술

    타이 ‘공공제약사’에서 국가의 역할을 보다(2020.04.18)

    2020년 4월 18일 phikorea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747

    Read more

시민건강연구소

시민건강연구소는 정부나 기업의 지원을 받지 않고 회원들의 참여와 후원으로만 운영하는 비영리 민간독립연구소입니다.

시민건강연구소는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보건의료정책과 활동을 평가하며, 건강사회를 위한 대안담론을 만들어가는 학술운동 시민단체입니다.

People's Health Institute (PHI)

a progressive non-profit research institute, was founded in 2006 based on the initiatives of health activists, researchers, and leaders of civic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vision, PHI generates and disseminates information to support people’s decision-making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justice and equitable health.

최근 글 목록

  • [실태조사] 인권위, 코로나19 상황에서 발달장애인 지원서비스 설문조사

    2021년 1월 20일

  • [실태조사] 코로나19와 이주민인권

    2020년 11월 30일

  • [현황]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해외 아동돌봄정책

    2020년 9월 21일

  • [지침 및 권고] 감염병 재난 극복을 위한 영유아 심리방역 매뉴얼

    2020년 9월 21일

  • [실태조사]코로나19와 교육: 학교구성원의 생활과 인식을 중심으로

    2020년 9월 21일

  • [연구]UN Policy Brief: The Impact of COVID-19 on older persons

    2020년 9월 9일

  • [현황보도]자가격리 막상 당하고 보니 눈물이 핑 돌았다..'다시는 못 할 짓'

    2020년 9월 4일

  • [연구] 일상의 여러 환경에서 코로나19 감염 위험과 시민참여방역

    2020년 8월 29일

  • [칼럼] 코로나19 집단검사는 득보다 해가 더 큰가? (Could mass testing for Covid-19 do more harm than good?)

    2020년 8월 24일

  • [지침 및 권고]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코로나19에 감염된 어린이를 집에서 돌보는 방법: 간병인을 위한 권고, 캐나다

    2020년 8월 11일

COPYLEFT BY 시민건강연구소 | 본홈페이지의 게시물은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한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